Written in early 2012. Translated by Mr Han Yeong Hwan.

Like an oriental folding screen, the mountains of Korea, form the main backdrop to this peninsula’s culture, history and commonality. 

If I am to think of indigenous traits of the Korean people, meaning things that didn’t arrive here by way of foreigness, then I have to think way back before the introduction of Buddhism in the 4th century period. This period may have been Korea’s purist. Despite a Chinese Taoist influence, Korea was confederated uniquely by its mountains. It was in these mountains that the Korean people chose to find their deities. The King of all these was the san-shin, or mountain-spirit. Every mountain contained a san-shin and its reverence was practised where ever the energy of the mountain was most potent. Mountain worship was practised all over the world. Mother Nature was recognized as the most prominent influence for humankind (something all modern civilizations seriously lack these days) before major religions globalized communities and put man before nature.

Where other parts of the world lost preference for Nature Spirits, for centuries, Korea’s san-shin remarkably survived the arrivals of newer religions and is still revered today. In a busy multi-religious society, the san-shin shrine that you can find at the back of most Buddhist temples is always vibrant with devotees paying homage to the mountain-spirit. But how has this ancient folk religion managed to stay so popular? Is it because mountains are part of who the Koreans are. For example, if you stop to talk to a farmer or a businessman about his or her hometown, the landmark for that place will most likely be its mountain. If they’re knowledgeable about that peak, then they will also know the story behind the mountain.

한국인은 어떤 사람들인가? 남북한 양쪽의 백두대간에 대한 나의 탐구는 결국 한반도가 분단되지 않았던 때 한국인들이 가졌던 공통점을 발견하는 것과 관련되어있는 것이다. 그것은 한국인들이 정치적 신념과 외세의 영향으로 이념적으로 분단되기 이전에 있었던 것이다. 내가 무척 매력을 느끼고 있는 한국의 산들은 십장생 병풍처럼 한반도의 문화, 역사 그리고 공통점에 대한 주된 배경을 형성하고 있다. 나는 한국인의 정체성을 한반도의 산과 관련하여 찾아보려는 것이다.

만약 내가 한국인의 고유한 토착적 특성에 관해 생각한다면, 4세기에 불교가 도래하기 이전을 생각해야할 것이다. 토착적이라는 것은 외국에서 들어오지 않았다는 것을 뜻한다. 이 시기까지는 중국 도교(道敎)의 영향을 받고 있었지만, 한국은 아주 순수했을 것이다. 당시도 한국은 산들에 의해 독특하게 연합되어있었다. 한국인들이 자기의 신(神)들을 찾은 곳은 바로 이들 산이었는데, 그들 신들의 으뜸이 산신령이었다. 모든 산에 산신령이 계시다고 믿었으며, 산의 기운이 가장 강한 곳에서 산신령에 대한 숭배 의식이 행해졌다. 산악 신앙은 환경 인지의 초기 형태로서 전세계에서 행해졌다. 주요 종교가 교세를 세계적으로 확장하기 전에는, 자연이 인류에 대해 가장 강력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인정되었다(그런 영향은 오늘날 모든 현대 문명이 크게 결여하고 있는 것이기도 하다).

세계의 많은 다른 지역이 자연신을 선호하지 않게 되었지만, 놀랍게도 한국의 산신령은 새로운 종교가 들어온 지 수백년이 지나는 동안 살아남았으며 오늘날에도 여전히 숭상되고 있다. 한국은 분망한 다종교 사회가 되었지만, 대부분의 불교 사찰의 경내 한 곳에 산신각이 서있으며, 그곳에는 산신령에게 예배하려는 신봉자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고 있다. 그런데 어떻게 이 옛 민속 신앙이 여전히 그렇게 인기가 있을 수 있는가? 그것은 산신령이 산의 신이며 산은 한국인의 일부라는 두 개념의 결합 때문일 수 있다. 심지어 산신령을 인정하지 않는 사람이거나 자연에 대해 종교적 느낌을 갖지 않는 사람들도, 그들이 농부이거나 사업가이거나 간에 고향이 어디이며 그 고향을 지켜주는 산이 어느 것이냐는 질문을 받으면, 곧 대화가 활기를 띄우며 깊어지게 마련이다. 사람들은 자기 마을이나 도시의 선조들의 역사와 배경을 산의 역사를 통해 이야기를 풀어간다.

My work in North Korea is still new, and I can’t yet determine what their view is on indigenous folklores. But, I do know that they revere their mountains and that their peaks do come attached with folk stories and meaning, whether its old tales from the Tangun period or Kim IL Sung leadership, peaks are connected to their influences. Some major Buddhist temples in North Korea do contain mountain-spirit shrines with paintings, but they are more so cultural relics these days. But I haven’t yet met a North Korea who didn’t know what a san-shin was.

San-shin’s first threat to survival may have been during the introduction of Buddhism in the 4th century. Korea’s early Buddhist Saints like Uisang Daesa and Ja Jang Yulsa scoured the countryside and mountains looking for sacred places of peace and power of which to build their temples upon. Their searches often took them to areas of local worship for the indigenous mountain-spirit. Sometimes these communities would repel the foreign religion as it threatened to take over the worship of their site. An example would be the famous ‘Floating Rock’ legend at Buseoksa Temple in Sobaeksan. Around the same period, the Pagans in early Europe were experiencing a religious invasion of their sacred sites via Christians. The deal that Uisang Daesa made at Buseoksa was that the locals could keep their mountain deity, allowing them to construct a shrine for the mountain-spirit; this was repeated around all Buddhist temples in Korea. The location of this mountain-spirit shrine was to be on the highest piece of land above the Buddhist main Prayer Hall, giving the mountain-spirit ownership and higher reckoning than even the Buddha himself. They remain there. It has out survived any other faith on this peninsula.

북한의 산들에 대한 나의 탐승이 아직 생소하며 토착적 민속에 대한 북한 사람들의 지식이 어떤 것인지 단정할 수 없지만, 내가 확실히 아는 것은 그들이 산을 숭상하고 있다는 것과 그들의 산이 전설과 민속적 의미를 지니고 있다는 것이다. 단군 시대로부터 내려오는 전설이나 김일성 장군과 관련된 이야기이건 간에 산이 그것들에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러나 북한에 있는 일부 주요 불교 사찰의 경내에 그림들이 그려진 산신각이 있지만, 오늘날에 그것들은 본래의 기능을 떠나 문화 유물이 되어있다. 그러나 내가 만난 모든 북한인은 산신령이 무엇인지를 알고 있었다.

4세기 불교가 한반도에 들어오던 시기에 산신령의 생존이 처음으로 위협을 받았다. 이때 한국은 처음으로 외래 종교를 진정으로 경험하게 되었다. 의상대사와 자장율사와 같은 초기의 불교 고승들은 부지런히 강산을 돌아다니며 수행도 하면서 절을 지을 곳을 찾았다. 그런 곳은 평화로우면서 강한 기운이 느껴지는 성스러운 곳이었다. 그렇게 찾다보니까 그들은 흔히 토착적인 산신을 숭배하는 장소에 도달하게 되었다. 그런데 왜 대부분의 절은 경관이 아름다운 심산에 자리잡고 있는가? 한편 때때로 산신을 숭배하는 사람들은 외래 종교인 불교에 반발했다. 불교가 그들의 산악신앙을 위협했기 때문이다. 소백산에 위치한 부석사(浮石寺)의 유명한 부석 전설이 한 예이다. 대략 같은 시기에 유럽에서도 기독교에 의한 종교적 침공을 경험하게 되어 토착의 성지들이 빼앗기었다. 의상대사가 부석사에서 이룬 타협은 산신령의 전각 건립을 허용하여 주민이 계속 산신을 숭배할 수 있게 한 것이었다. 이 선례를 한국의 모든 절들이 따랐다. 산신각의 위치는 정상적으로 늘 경내에서 가장 높은 곳, 그러니까 대웅전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고 있다. 산신령이 심지어 부처보다 높은 성스러운 곳에 모셔지고 있다(경내의 외곽이지만). 그 이후 산신령에 대한 숭배가 쇠퇴되었으나 여전히 한국에는 산신각이 남아있다. 한반도에서 산신에 대한 숭배는 어떤 신앙보다 더 오래 존속하고 있다.

During March 2010, I was to get a firsthand experience of this importance while living in a small Buddhist hermitage on the slopes of Songnisan Mountain. The San-shin shrine at Sanghwan-am occupies a pristine piece of rock above the hermitage. Legend and history are saturated at this hermitage. It sits in the nook near the top of a high cliff valley of which a mountain stream gushes down to a place called Saeshimgang. It was here a long time before the introduction of Buddhism that the site was once supposed to be an area where Korean Taoists practised ancient forms of Seon-do (a way of life that manipulates the energies of mountains for human transformation) came and resided. The san-shin shrine has a million-dollar view.

However, the old shrine was to be remodeled. My stay at the hermitage had often meant some tasks required nothing less than ignorant brute force, something that I am good at, and my role in this project was to be no different. A small gang of workers had been making daily one kilometre jaunts up the mountain to disassemble the old shrine. Now it was time to heave the raw materials up.  The idea to use me, had been made during one of our dinners at the hermitage. An active discussion had ensued on how we would transport 40kg cement bags up the mountain. There was only one affordable way, and that was with humans. Most Koreans are not prone to hard labour, but there is a segment who are. 

Jigae-jeol is a craft that Korean peddlers and traders have been practising for thousands of years. Lumbering large loads on your back with a wooden A-framed device can also be seen as a form of intensive meditation for those that prepare themselves mentally well. I was to treat this workload with the same appreciation. When carrying immense loads like cement bags, your most vital tool is the stick you carry. With this, you can pivot yourself up from a sitting position and use it to counter-balance your course over the numerous boulders and tree roots that knot the trails. Over a period of days, our small lugged about 1000kg’s of cement up the steep mountain. The comradely we experienced during our physical exercise was pure blue-collar class. However, unknowingly, the real grit was yet to come. Four eighty kilogram granite stones that formed the foundation blocks for the san-shin shrine had arrived at the bottom of the mountain. 

Fixing eighty kilograms to one’s back and shipping it up a steep mountain is not something that everyone can say they’ve done. The brain sends doubt signals to your back, joints, and muscles. Two men are required to help you up to your feet while the loaded aluminium jigae (a-frame) is on your back. From there, one has to steady himself with his core strength before taking that first step. As you pad your way up the trail, you cannot afford to lose your balance. The main reason is to prevent yourself from trying to rebalance from capsizing. I felt that this reaction would only rip muscle and tendon from the bone. And as the trail is up a mountain with steep drop-offs, then if you toppled off, you’d only end up dragged down its face by the jigae and attached rock. The master tool here is the sturdy stick that you carry. It keeps you balanced and straight. You use it lightly like a sorcerer’s wand. It’s a little hard to explain, but I will try. Every step you take with this weight is calculated and deliberate. You try to stay balanced. The stick acts as a cane for a blind man. As you prod, it forward it detects the ground for you, almost like an extension of your next step, and it omits like an antenna for you a message of whether you can make that step safely there or not. It also gives you clues to elevation. Is the next step to high for you to make? Once you master, it even, with a light touch, helps remove some of the burden of the weight from your shoulders. It improves your posture and technique as it steers you safely up the track. It was a full two days work to get the four blocks up. Recreational hikers would pass by me up and down the mountain wondering what the foreigner was doing. On hearing that it was for the new san-shin shrine, gasps were the replies. Jokingly, sometimes I would stop and cusp my two hands together, begging for a dollar. In return, I would get quenching mandarins.

As I began to revel in the meditative and physical intensity of this work, I admit I was tempted to scribe my name into the sludgy cement that was still curing at the shrine. I thought that if another one thousand years later when the next san-shin shrine was restored, its builders might find this foreign name in the base of their indigenous tradition. As it so happened, when I returned years later, I saw my name was already on a list with others inside the shrine who had dedicated either their toils or monies to its newness.

2010년 3월 내가 속리산의 한 작은 암자에 머물고 있을 때 산신령 신앙의 중요성을 직접 경험하게 되었다. 상환암의 산신각은 이 암자 위에 있는 고색창연한 바위 위에 있다. 이 암자가 세워진 장소에 관해서는 많은 전설과 이야기가 있다. 이 암자는 높은 절벽 계곡의 꼭대기 근처의 한 모퉁이에 자리 잡고 있는데, 그 계곡에서 계류가 거세게 흘러내려가 세심정 옆을 지난다(이 물은 달천에 들어간 뒤 이 달천이 구불구불 흘러 충주호에서 내려오는 남한강에 합류한다). 불교가 전래되기 오래 전에 토착적인 선도(仙道)를 행하던 한국 도교 신봉자들이 이곳에 와서 머물렀던 것으로 여겨진다(선도는 산의 정기를 활용하는 수행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약 1300년 전 법주사 건립 때 불교 승려들이 상환암 터를 놓치지 않고 차지했다. 왜냐하면 이곳에서 강한 산의 정기가 발산되기 때문이었다. 그런데 암자 위에 자리 잡은 산신각에서 바라보는 조망이 정말 일품이다.

이곳 산신각의 낡은 벽돌 건물을 헐고 새로 짓게 되었는데, 나더러 그 신축 공사 일을 거들러달라는 요청을 받았다. 내가 암자에 머물면서 여러 가지 막일을 했는데, 나는 기술을 요하지 않고 몸으로 때우는 막노동을 그런대로 잘 한다. 그래서 이 산신각 신축 공사에서의 나의 역할도 다르지 않았다. 일단의 일꾼들이 매일 아침 산 위로 1 km 올라가 낡은 산신각을 해체하고 이제 새 산신각의 기초 자재를 산 위로 운반할 때였다. 암자에서 저녁을 먹을 때 그 일의 제안을 받았다.  새 산신각 기초에 시멘트가 필요했는데, 40 kg 짜리 시멘트 부대들을 어떻게 산 위로 올려갈 것인지에 관해 활기찬 논의가 있었다. 그런데 누가 그 일을 가장 잘 할 수 있겠느냐가 논의의 초점이었다.

지게질은 한국의 농사꾼과 행상이 수천년 동안 행해온 기술이다. 나무로 만든 지게에 무거운 짐을 얹고 그것을 등으로 진 모습은 또한 정신적 수행을 하는 사람에게는 깊은 명상을 하는 자태처럼도 보일 수 있다. 나는 이 짐지기에 같은 생각으로 대했다. 시멘트 부대와 같은 엄청난 무게를 질 때 아주 중요한 도구는 지팡이이다. 이 지팡이를 짚어야 앉은 자세에서 일어날 수 있고, 산길 여기저기에서 나타나는 여러 큰 돌들과 나무뿌리 위를 걸어갈 때 지팡이를 사용하여야 균형을 잡을 수 있다. 우리는 한 팀으로서 며칠 동안에 약 1000 kg의 시멘트를 가파른 산 위로 올려가야 했다. 이 일 동안에 우리가 경험한 동료애는 바로 육체노동자들의 즐거움이었으며, 육체적 운동 자체도 가르치는 것이 많았다. 그러나 진짜 일은 뒤에 있었다. 부어놓은 시멘트가 완전히 굳기 전에 산신각의 초석으로 사용할 80 kg짜리 화강암 4 개를 산 위로 올려가는 일이 남았다.

80 kg짜리 돌을 등에 지고 가파른 산 위로 올려가는 일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아무리 생각해도 등, 관절, 근육 따위가 제대로 견디어낼 것 같지 않아 보였다. 돌덩어리를 얹은 지게를 등에 지고 일어서려면 두 사람의 도움이 필요하다. 그 다음 첫 발자국을 내딛기 전에 자기의 기본 체력으로 몸을 가눌 수 있어야 한다. 왜냐하면 만약 균형을 잃으면 몸의 전복을 막을 수 없기 때문이다. 몸의 전복을 막으려고 시도하다가는 근육과 인대가 뼈에서 떨어져나가고 말 것이다. 오르는 산길의 한편은 가파르게 떨어져있기 때문에 몸의 균형을 잃어서는 절대로 안된다. 만약 그렇게 되면 바위 면을 따라 떨어지게 될 것이다. 계속 균형을 잡고 몸을 곧게 세울 수 있게 돕는 것은 손에 쥐고 있는 단단한 지팡이이다. 그 지팡이를 마법사의 지팡이처럼 가볍게 사용할 수도 있고 그것을 집고 산길을 안전하게 오를 수도 있다. 네 개의 화강암을 모두 지고 올라간 것은 나였는데, 꼬박 이틀 걸렸다. 다만 몇 명의 친구가 함께 가다가 필요할 때 나를 도와주었다. 등산객들이 내 옆을 지나갔는데, 재미로 산행을 하는 그들은 외국인이 무슨 짓을 하고 있는지 궁금하게 여겼을 것이다. 새 산신각을 짓는데 쓸 자재를 올려간다는 말을 듣자 그들은 놀라면서 감탄사를 연발했다. 때때로 내가 장난으로 두 손을 모아 내밀면서 천원짜리 한 장을 구걸했다. 웃음이 터져 나왔으며 그 다음 귤을 까먹으면서 한가하게 이야기를 나누었다.

내가 상환암에 머무는 동안 산신각 신축이 완전히 끝나지 않았다. 그러나 내가 새 산신각 건축에 기여했기 때문에 그것에 애착을 느끼고 있음을 인정한다. 나는 아무도 보지 않을 때 굳기 전 시멘트에 내 이름을 써놓을까 하는 유혹을 느꼈다. 천 년 뒤 다시 새 산신각을 지을 때 시공자가 기초에서 외국인의 이름을 발견하게 될 것이다. 그 때의 한국의 모습은 어떨까? 산악 신앙의 옛 형태가 격동하는 역사 속에서 여러 종교적 및 정치적 변화를 이겨내고 남아있음을 볼 때 나는 그 때에도 한국인은 산과 산에 있는 신령을 여전히 숭배할 것이라고 믿는다. 아마도 암자는 새로운 현대적 형태의 우주적 종교로 대체될지도 모른다. 아마도 그렇지 않을지도 모른다. 여하간 무슨 일이 일어나더라도 그 곳의 새 주인은 그곳에 산신각을 두어야 할 것으로 안다. 왜냐하면 산들처럼 산신령은 심지어 인간이 거기에 오기 전부터 있었기 때문이다.

Previous reading
1화. “북한 여섯 번 다녀왔어요” 이 외국인 뭐지?
Next reading
Duryu-san 1323m with Mr. Han Shigan. 한시간 씨와 백두대간 두류산 오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