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로저 셰퍼드  번역: 이균형

“Korea is like a high rise of elevated footpaths,” he said.

I liked that comment. It was mid-March and I was taking a morning stroll with Rich Trevithick on a small peak called Byeongbang-san 160m. From a distance it looks like a shark’s dorsal fin cutting through the Seomjin-river. The weather was warm and hazy. Rich had driven over from Gwangju to join me in Gurye for an interview about his winter section hike of the Baekdu Daegan in January 2015. Despite knowing each other through the Baekdu Daegan FB group, this was the first time we had met.

First impressions of Rich are of a big strong friendly man, standing 186cm with a 110kg frame, topped with a big gentle smile on a kind face.

Rich (35) comes from a small rural town in northern New Zealand called Ruakaka. He studied at Waikato University completing two majors in Art and Social Sciences and first arrived in Korea 8 years ago to teach English.

As we walked past the mountain tombs and found the trailhead I started our conversation with why he had come to Korea? I soon realized that ‘big Rich’ had a ‘big love’ for Korea. So before I get into his Baekdu Daegan experience, I want to tell you a little bit about his life here.

“I started teaching in Yeosu. I really enjoyed the job, because most of the time I was teaching on small islands.”

“What islands were they?”

“In a week, I would spend one night and two days on Geomun-dae, make two daily trips to Gae-do, and a day trip to Cho-do.

“It was on the islands that my appreciation of rural Korea began. It reminded me of where I had been brought up in rural New Zealand, because everyone knew each other. All the kids were friends, all the parents worked together, and everyone went fishing together after work. A real sense of community. Some people think the kids on the islands are worse off and not as smart as the kids on the mainland, but I never saw that. I loved their sense of practicality, I could admire that.”


“한국은 마치 하늘 높이 오르는 오솔길 같아요,” 그는 이렇게 말했다.

나는 그 표현이 좋았다. 3월 중순이었다. 나는 리치 트레비딕과 함께 병방산이라는 160미터 높이의 작은 봉우리로 아침산책을 하고 있었다. 멀리서 보면 병방산은 섬진강을 가르고 솟아나온 상어 등지느러미 같은 형상으로 보인다. 날씨는 흐릿하고 포근했다. 리치는 2015년 1월에 겨울철의 백두대간을 부분 종주했던 경험에 대해 나와 인터뷰를 하기 위해 일부러 광주에서 차를 몰아 구례까지 와주었다. 백두대간 페이스북 그룹에서 서로 알게 됐지만 직접 만나기는 처음이었다.

리치는 신장 186cm 체중110kg의 우람한 몸집 위에 점잖은 미소를 띤 상냥한 표정의 얼굴을 얹고 있는, 강인하면서도 우호적인 인상의 남자였다. ‘머슴’ 같은 인상이랄까.

리치(35)는 뉴질랜드 북부의 루아카카라는 작은 시골마을 출신이다. 그는 와이카토 대학교에서 미술과 사회과학 전공 공부를 마치고 8년 전부터 한국에 와서 영어를 가르치고 있다. 

무덤을 지나서 산길 어귀를 찾아낸 후, 나는 그가 어떻게 한국에 오게 됐는지부터 질문을 시작했다. 나는 곧 이 ‘왕 리치’가 한국에 ‘왕 사랑’을 품고 있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그래서 그의 백두대간 체험 이야기를 들어보기 전에 살짝, 그가 지나온 인생 이야기를 전하려고 한다.

 “난 여수에서 영어를 가르치기 시작했어요. 정말 즐거운 일이었어요. 대부분의 시간을 작은 섬에서 가르쳤거든요.”

 “어떤 섬에서요?”

 “일주일 중 1박2일은 거문도에서 지내고 이틀은 개도, 하루는 초도에 다녀오곤 했지요.”  

 “이런 섬에서 한국 시골의 풍치를 음미할 줄 알게 됐어요. 마을 사람들끼리 서로를 속속들이 다 알고 있는 섬마을은 내가 자란 뉴질랜드 시골을 떠올리게 했어요. 아이들은 모두가 친구였고 부모들은 모두 함께 일했어요. 일이 끝난 다음에는 모두가 함께 고기를 잡으러 갔지요. 말 그대로 진짜 공동체였어요. 어떤 사람들은 섬마을 아이들이 뭍의 아이들보다 못 살고 똑똑하지도 못하다고 생각하는데, 저는 그런 경우를 본 적이 없어요. 그 아이들이 지니고 있는 살아있는 생활감각은 너무 좋았어요. 그건 칭찬할 만해요.”

“Care to give me an example?”

“Well, they all knew how to ride a scooter, fish, work with their parents on boats, fill dive bottles, work in their mother’s restaurants, and other things like that, hands on stuff.”

Being a New Zealander, I understood what Rich meant. “No PC 방 then?”

“Na, at night I could hear the kids running down the stone walled alleyways playing, they even taught me how to kill snakes. There’s a lot of snakes on those islands.”

“What? How do you kill a snake then?”

“To kill a snake you would stand on it just behind its head, and then give it a swift whack with a stick or rock. These were elementary school aged ‘snake-killer kids’ showing me how to do this!”

We carried on walking through the scented pine forest.

“I also love fishing. I learnt to fish in my hometown because it’s what everyone did. So, one evening I was fishing on the end of the pier and I caught a pretty big flounder.”

“How big?”

 “About this big,” Rich spreads his arms about three feet apart. Like true fisherman he probably added a foot. “I stuck it in my bucket to deal with it later. One of my students Yun Han-bin was watching me. Next thing, he grabbed my knife, kills the flounder and starts slicing it up. As he’s slashing away, he excitingly says, ‘Teacher teacher, let’s eat the fish.’ I wasn’t sure if it was a good idea for a first grader (7-year old) to be using a sharp knife, so I looked over to the house where he came from. His grandmother was watching us, aware of my concern, she just started laughing at me.

 “예를 들면요?”

 “아이들이 모두 스쿠터를 탈 줄 알고, 고기를 잡을 줄 알고, 부모님의 배에 타고 나가서 같이 일할 줄 알고, 다이빙용 산소통을 채울 줄 알고, 엄마의 식당에서 일할 줄 알고, 생활현장의 온갖 일들을 다 잘 해내요.

나도 뉴질랜드 출신이어서 리치가 무슨 말을 하는지를 이해했다. “그럼 PC방은 없겠네요?”

 “없어요. 밤엔 아이들이 돌담길을 따라 달리며 노는 소리가 들려요. 그들은 내게 뱀 죽이는 법도 가르쳐줬어요. 섬엔 뱀이 많거든요.”

“예? 뱀을 어떻게 죽이는데요?”

“뱀을 죽이려면 머리 바로 뒤를 밟고 작대기나 돌로 일격을 가하면 돼요. 이런 걸 가르쳐준 게 그 ‘초딩 뱀 킬러’들이라니까요!”

우리는 향긋한 솔숲을 계속 걸었다.

“난 낚시도 좋아해요. 고향마을에서 낚시하는 법을 배웠어요. 모든 사람이 낚시를 했으니까요. 어느 날 저녁 거문도 서도의 덕촌리 방파제에서 낚시를 하다가 꽤 큰 넙치를 잡았어요.” 

“얼마나 컸어요?”

“이 정도요,” 리치가 석자 정도 크기로 팔을 벌렸다. 낚시꾼 아니랄까 봐, 한 자는 보탰을 것이다. “난 그걸 나중에 처치할 생각으로 양동이에 담아놨어요. 우리학교 학생인 윤한빈이 그걸 보고 있다가 느닷없이 내 칼을 거머쥐더니 넙치를 죽여서 회를 뜨기 시작했어요. 그는 생선을 난도질하면서 상기된 표정으로 말했어요. ‘선생님, 선생님, 고기 먹어요.’ 난 일곱 살짜리인 1학년 아이가 날카로운 칼을 사용하고 있는 게 과연 괜찮은 일인지 당혹스러워서 그가 온 집 쪽을 바라봤어요. 그의 할머니가 우리를 지켜보고 있다가 내가 걱정하는 걸 알아채고는 날 놀리려는 듯이 그저 웃기만 하시더군요.” 

“이야기 나온 김에 말이지만, 학교에 식당이 없었던 덕분에 점심이 정말 끝내줬어요. 근처의 마을 할머니 댁에 가서 점심을 먹었거든요. 커다란 생선에다 반찬이 끊임없이 나왔지요.”

“That reminds me – because there was no school café, school lunches were always great too. We’d just go to the local Grandma’s house and eat there. Huge fish meals with endless side dishes.”

It was so nice to hear this story. In 2011, I had traveled to about fifty outer islands whilst on assignment for Korea Tourism. It brought back fond memories of these quiet islets with tough yet warm people.

“Sometimes I’d even get a chance to drive the boats.”

“Drive the boats?” Shocked, I turned to look at him.

“Yeah my students fathers were mostly fisherman, and their grandmothers hae-nyeo (free-divers). Sometimes recreational fishermen would come from the mainland, and they’d need to be dropped off at rocky points, so if I wasn’t doing anything the skippers would take me with them. I’d steer the bow up to the rocky point, where he’d jump out with a rope and hold the boat up, while the fishermen got off. Then once they were all off, I’d shove it into reverse, and steer off. Often I’d end up driving the boat back into the port too.”

이런 이야기를 듣는 건 정말 멋진 일이었다. 2011년에 나는 한국관광진흥공사의 일을 맡아서 50개 정도의 외곽 도서지역을 여행했던 적이 있다. 트레비딕의 이야기는 이들 고요한 작은 섬에서 거칠면서도 따뜻한 심성을 지닌 사람들과 함께 지냈던 즐거운 추억들을 떠올리게 했다.

“가끔씩은 배를 몰아볼 기회도 있었어요.”

“배를 몰았다고요?” 나는 놀라서 그를 쳐다봤다.

“예, 우리 학부모들은 대부분이 어부이고 할머니는 해녀였어요. 육지에서 낚시꾼들이 가끔씩 오는데 그들을 바위가 많은 곳에 태워다 줘야 했지요. 그래서 내게 할 일이 없을 때는 선장들이 나를 데려가곤 했어요. 내가 바위 쪽으로 배를 대면 선장은 밧줄을 잡고 물속으로 뛰어들어서 낚시꾼들이 배에서 내릴 동안 배를 붙들어 매놓고 있었지요. 낚시꾼들을 다 내려주고 나면 내가 배를 몰아서 나왔어요. 종종은 부두까지 내가 배를 몰고 돌아오기도 했어요.”


“You taught on the islands for three years. Why did you leave?”

“I wouldn’t have left that job, but they closed the schools down and sent the kids to the mainland to learn.”

It was a sad reality.

“So, it was the islands that gave you a desire to explore Korea more?”

“Yeah, after the islands I made a point of traveling back-country Korea as much as I could. Fishing and trekking were two activities that gave me a reason to do this?”

“Where would you go?”

“Mainly always in Jollanam-do somewhere. Fishing the dams and major rivers from my kayak, and hiking the peaks. I love Jolla-do!”

“You would’ve met a few locals?”

“The traveling always brought an interaction with them, so I started making an effort to learn the language, but my American wife Sandy is much better at the language than me.”

“When did you meet her?”

“We met about four years ago in Korea. Sandy is also a teacher and we’ve been married since 2013.”

“And now you have a daughter?”

“Yes, Amelia was born in December 2015.”

“What are you plans for Amelia?”

“Well, we both really love our jobs, and love Korea, so we’ve decided to live here.”

We arrived at the small summit of. From here we could see the Seomjin-river weaving its way southeast between the mountains of O-san and Jiri-san with my small township of Gurye to the north. Beneath us freshly fertilised fields of Sincheon-ri shimmered in the early spring haze.


“섬에서 3년 동안 영어를 가르치다가 왜 떠났죠?”

“저는 나오고 싶지 않았지만 학교가 폐교되어버렸어요. 아이들은 뭍의 학교로 통학하게 됐고요.”

그건 서글픈 현실이었다.

“그러니까 한국을 좀 더 탐사해보고 싶게 만든 건 바로 그 섬들이었구만요?”

“예, 섬을 나온 후에는 틈날 때마다 한국의 오지를 여행하는 것을 낙으로 삼았어요. 낚시와 산행 취미가 그렇게 다니게 한 이유가 됐겠죠.”

“어디어딜 다녔나요?”

“거의 언제나 전라남도였어요. 카약을 타고 댐이나 강에서 낚시를 하거나 산봉우리를 오르곤 했죠. 난 전라도가 너무 좋아요!”

“현지 사람들도 좀 만났겠네요?”

“여행하다 보면 언제나 현지사람들을 만나게 되지요. 그래서 말을 배우기 시작했어요. 하지만 한국말은 미국인 아내인 샌디가 저보다 훨씬 더 잘해요.”

“아내는 언제 만났나요?”

“한국에서 4년쯤 전에 만났어요. 샌디도 영어선생인데 우린 2013년에 결혼했지요.”

“지금은 딸이 하나 있다고요?”

“예, 아밀리아는 2015년 겨울에 태어났어요.”

“아밀리아는 어떻게 키울 작정이세요?”

“글쎄요, 우린 둘 다 한국을 좋아하고 영어 가르치는 일도 좋아해요. 그래서 여기서 살기로 했어요.”

우리는 병방산의 작은 봉우리에 도착했다. 여기서는 내가 사는 소읍인 구례 남쪽의 오산과 지리산 사이를 남동으로 굽이쳐 흐르는 섬진강이 내려다보였다. 우리 발아래로는 막 퇴비를 낸 신촌리 들판의 정경이 이른 봄의 옅은 안개 속에 아물거렸다.

“How long for?”

“We want to live here for at least ten years or more. That means our daughter Amelia because she was born in Gwangju, will grow up as a white foreign kid, with Korean friends, learn their language and culture, and get use to being around other races.

“She is what’s called a third culture child.”

“What’s that?” I asked.

“That’s a child who is born from parents of different nationalities in a foreign country. It’s the way the world is going. Kwangju will be her hometown,” he laughs. “That’s kind of cool for me.”

“Tell me about the Baekdu Daegan Rich. How did you come across that?”

“One day I found the Baekdu Daegan Trail Guidebook at Kyobo in Daegu. I had also heard of one of the authors Andrew Douch, as we shared mutual friends.”

I let Rich carry on talking as we started our descent on a steep and barely noticeable trail covered in dead leaves that took us down to the sleepy village.

“I’d always enjoyed day and weekend hikes in Korea, so the Baekdu Daegan seemed like the apex of that. It seemed like a good way to get off the beaten path and experience Korea in a way many foreigners don’t.”

“Other than that were you hoping to achieve anything else?”

“I was keen to gain some insights into life.”

“Did you then?”

“Yeah! Sandy and I had talked about having a child and while walking I got a lot of time on the trail to think about that. At some stage on that walk, I decided I was ready for a child.”

“얼마 동안요?”

“최소한 10년 이상 살려고요. 그러니까 우리 딸 아밀리아는 광주에서 태어났으니 한국인 친구들 사이에서 백인 외국 아이로 자라면서 한국어와 문화를 배우고, 다른 인종의 사람들과 어울리는 데 익숙해질 겁니다.”

“그러니까 걘 소위 ‘제3문화’ 아동인 셈이지요.”

“그게 뭔데요?” 내가 물었다.

“서로 국적이 다른 부모가 외국에서 낳은 아이 말입니다. 세상은 이런 식으로 변해가고 있어요. 아밀리아의 고향은 광주가 될 거예요.” 그가 웃었다. “전 그게 좋아요.”

“리치, 백두대간 이야기를 해주세요. 백두대간을 어떻게 알게 됐나요?”

“어느 날 대구의 교보문고에서 <백두대간 산행 가이드북>을 발견했어요. 저자 중의 한 사람인 앤드류 더크에 대해서는 그를 아는 내 친구들을 통해서 이야기를 듣고 있었지요.”

낙엽에 덮여서 잘 보이지도 않는 가파른 산길을 따라 아직도 잠을 안 깬 듯 고즈넉한 마을을 향해 병방산을 내려오는 동안, 나는 리치가 이야기를 계속하게 했다.

“난 한국에서 주말이든 주중이든 늘 산행하기를 즐겼어요. 그래서 백두대간은 그 산행의 정점처럼 느껴졌어요. 사람들 발자국에 닳은 길을 벗어나서 외국인들은 잘 가지 않는 길을 걸으면서 한국을 체험해보기엔 아주 좋은 방법으로 보였지요.”

“그것 말고 이루고 싶은 다른 목적도 있었나요?”

“삶에 대한 통찰을 좀 얻고 싶었어요.”

“그래서 얻었나요?”

“예! 샌디와 나는 아이를 가지는 것에 대해 의논을 했었는데 산행을 하는 동안 그에 대해서 생각해볼 시간이 많이 생겼어요. 그렇게 걷던 중 어떤 시점에서 난 이제 아이를 가질 준비가 됐다고 판단하게 됐지요.”

“How?”

“Well, the walk taught me how to simplify life. Rather than setting big goals, I set daily small goals, trying not to think about the big end goal of getting there. I’d never really thought like that before, and now I take that approach with me into my daily life and work.

“I didn’t have time to complete a through hike, so I set out to do a section hike from Jiri-san to in the winter of 2015, starting January 10th till the 31st. I had decided to skip the national parks of Jiri-san and Deogyu-san because it was so difficult to make reservations in the shelters through their website.”

A lot of foreigners had problems with the national parks shelter reservation system. It was annoying. One day I should start a petition to get it fixed, I thought.

“Why did you do it in winter?”

“I like the mountains in winter here, the stark beauty. It seems so lonely and quiet, no bugs, no birds, no animals, only the icy stillness of the night, the moon reflecting on the snow, strangely illuminating everything. At night it was so hushed you could hear anything, like the sound of something tiny scrunching through the snow.”

“Out there at night by yourself on a cold mountain ridge, did you ever have a spooky moment?”

I was ‘surprised’ when Rich told me he had.

“어떻게요?”

“산행은 삶을 단순해지게 만드는 법을 가르쳐줬어요. 큰 목표를 세우기보다는 날마다 성취해야 할 작은 목표를 설정했지요. 큰 목표에 다다르는 것에 대해서는 생각하지 않으려고 해요. 이전에는 이런 식으로 생각해본 적이 없는데 이젠 나날의 생활과 일들을 이런 식으로 접근해가고 있어요.”

“한꺼번에 다 종주할 시간은 낼 수가 없어서 2015년 겨울에 지리산에서 속리산까지 부분 종주를 나섰어요. 1월 10일에서 31일까지요. 인터넷을 통해서는 대피소 예약하기가 너무나 어려워서 지리산과 덕유산 국립공원은 생략하기로 했어요.” 

국립공원 대피소 예약 시스템은 외국인들에겐 문제가 많다. 그건 짜증나는 일이다. 나는 언젠가는 이 문제가 개선되도록 청원을 올리리라고 다짐했다.

“왜 동계산행을 하기로 했나요?”

“저는 한국의 겨울 산을 좋아해요. 그 발가벗은 순수의 아름다움을요. 겨울 산은 벌레도 새도 동물도 없이 너무나 고독하고 고요하지요. 오로지 얼어붙은 고요한 밤, 눈에 반사된 달빛이 모든 것을 비춰내고 있는 기이한 풍경만이 있어요. 밤엔 너무나 고요해서 뭔가 작은 것이 눈을 스치는 소리까지도 다 들리지요.”

“추운 산자락에서 혼자 밤을 세우다가 소름 끼치는 순간을 만난 적은 없나요?”

리치가 실제로 그런 일이 있다고 얘기했을 때 나는 <놀랐다>.

“One night I had a strange dream, but I swear it wasn’t a dream. It was near the peak of Guksu-bong before Keun-jae. I awoke to the sound of someone opening the fly on my tent, then unzipping the flap to it. I couldn’t move or speak, I was frozen. I wanted to move but couldn’t. He came into my tent.”

“What do you mean? You could actually see a person? What did he look like?”

“Yeah. He was a middle aged Korean guy with glasses, dressed in trekking gear. I was trying to fight back but everything was in slow motion. He was on top of me, holding me down, trying to unzip my sleeping bag, but before he could do that I woke up. Even though it was freezing, I woke in a sweat.”

A cold ghost trying to get warm, I sniggered…however this was strange, because I also had a ghost moment on my 2007 walk of the Baekdu Daegan. I had to tell Rich about it.


“하루는 괴이한 꿈을 꿨어요. 근데 그건 정말이지 꿈이 아니었어요. 상주시 공성면에서 큰재 가기 전에 있는 국수봉 꼭대기 근처였어요. 누가 텐트의 플라이를 열고 텐트 입구 지퍼를 내리는 소리에 잠이 깼어요. 난 움직일 수도 말을 할 수도 없었어요. 완전히 얼어붙어버렸죠. 움직이려고 했지만 움직일 수가 없었어요. 그가 텐트 속으로 들어왔어요.”

“뭐라고요? 실제로 사람을 봤단 겁니까? 어떻게 생겼던가요?”

“예, 등산복 차림에 안경을 쓴 중년의 한국 남자였어요. 난 그를 물리치려고 해봤지만 모든 게 슬로모션 동작이었어요. 그는 내 위에 올라타고 나를 누른 채 슬리핑백 지퍼를 내리려고 했어요. 하지만 그러기 전에 잠이 깼어요. 날이 엄청 추웠는데도 깨어서 보니 땀을 흘리고 있었어요.”

추위에 떨던 유령이 몸을 좀 녹이고 싶어서 그랬겠지.. 나는 킬킬거리고 웃었다. 하지만 기이한 일이었다. 나도 2007년에 백두대간을 산행하던 중에 유령을 만난 적이 있기 때문이다. 나도 리치에게 그 이야기를 하지 않을 수가 없었다.

“Back in 2007, I was sleeping on at Munryeong-gogae, I had no tent, just a bivouac bag. I awoke to hear what sounded like someone walking towards our campsite. I tried to unzip the hood on my bag and look out but couldn’t move. The footsteps got closer and closer, scrunching across the loose metal, the steps sounded heavy, like army boots. I tried to shout out, but couldn’t say anything. So instead I just decided to play dead, and freeze. By now the heavy boot-steps had stopped right next to me. Then I felt the sole of his boot rub against my hip, and shake me. I didn’t react. Next thing the man had stepped over me and was now walking away from me into the forest. It wasn’t until his boot steps had gone, that I was able to move again. I quickly opened my sleeping bag, sat up, and stared into the inky night. Frazzled, I looked to where Andrew’s tent was. All I heard was him snoring inside it. Nothing happened, I thought, so I went back to sleep thinking it must have been a dream, but the next morning, as soon as I woke up, it was the very first thing I remembered.”

Rich was attentive. “It was terrifying for me. Something like that has never happened to me before or since,” he said.

“It’s still very vivid for me too.” I replied.

Two Kiwis with ghost stories from the Baekdu Daegan. That’s weird?

“I think mine was due to physical stress.” Rich said.

“I think mine was from drinking to much dongdong-ju that night.” I said back.


“2007년에 전라북도 장수군의 백두대간 무령고개에서 텐트도 없이 비박용 슬리핑백에서 잠을 자고 있었지요. 누군가가 우리 쪽으로 걸어오고 있는 소리를 듣고 잠을 깼어요. 후드의 지퍼를 열고 밖을 내다보려고 했지만 몸이 움직여지지 않았어요. 발자국 소리가 점점 더 가까워지는데 자갈을 저벅저벅 밟으면서 오는 소리는 마치 군화 발소리 같았어요. 고함을 지르려고 했지만 소리도 나오지 않더군요. 그래서 나는 할 수 없이 꼼짝 않고 죽은 척하기로 했어요. 묵직한 발자국 소리는 이제 내 바로 곁에서 멈췄어요. 그가 신발 바닥으로 내 엉덩이를 비비며 흔드는 것이 느껴졌어요. 나는 반응을 하지 않았어요. 그러자 그는 나를 타넘고 숲 속으로 걸어가버렸어요. 발자국소리가 사라지고 나서야 몸을 움직일 수 있게 됐어요. 얼른 슬리핑백을 열고 일어나 앉아서 칠흑 같은 어둠 속을 응시했어요. 기진맥진한 채 앤드류의 텐트가 있는 쪽을 돌아봤더니 텐트에서는 코고는 소리만 들리더군요. 아무 일도 없었구나 하는 생각에 난 그게 꿈이었던 게 틀림없다고 여기고 다시 잠들었어요. 하지만 다음날은 아침에 깨자마자 제일 먼저 그 일부터 기억에 떠오르더군요.”

리치는 주의 깊게 내 이야기를 듣고 있었다. “나에겐 끔찍한 일이었어요. 그 전에도 후에도 그런 일은 한 번도 없었거든요.” 그가 말했다.

“내게도 그 일은 아직도 생생해요.” 내가 대답했다.

백두대간에서 유령을 만난 두 키위(뉴질랜드인의 별칭-역주)의 이야기. 괴이하지 않은가?

“내 경우엔 육체적인 스트레스 때문에 그랬던 것 같아요.” 리치가 말했다.

“난 그날 밤 무령고개에서 동동주를 너무 많이 마셔서 그랬던 것 같아요.” 내가 대꾸했다.

First published in May 23rd, 2016 (Daum crowdfunding series.)

Previous reading
A big Kiwi on the Baekdu Daegan in Winter. 백두대간 눈보라 속의 뉴질랜드 거인.
Next reading
A British lady on the 백두대간. 백두대간의 영국여자.